카테고리 없음

'-어라 ', '-으라'의 문법 용법

카이노스123 2023. 1. 7.
반응형

-어라, -으라의 문법 용법(출처 우리말 샘)

-어라, -으라의 문법용법

1.- 어라 

-어라

-어라 「001」 「어미」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 어간 뒤에 붙어))해라할 자리에 쓰여,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먹어라

씻어라

울어라

가다 - 가라 / 가어라X

오다 - 오라/ 오어라X

 

-어라 「002」 「어미」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감탄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아이, 딱하고 가엾어라.
몹시도 만나고 싶어라.
 

 

 

-어라 「003」 「어미」 「옛말」 ((끝음절의 모음이 ‘ㆍ, ㅏ, ㅗ’가 아닌 동사나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려.        

 

2. - 으라       품사「어미」

「002」((‘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간 뒤에 붙어))((간접 인용절에 쓰여)) 해라할 자리에 쓰여,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손을 깨끗이 씻으라 하시오.
그것은 죽으라는 소리보다 더한 말이군요.

 

(표준국어 대사전)

「어미」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간 뒤에 붙어))

「1」 (예스러운 표현으로) 하라체를 사용할 자리에 쓰여,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아니한 청자나 독자에게 책 따위의 매체를 통하여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응용

간접인용절일 경우에는  "아이들에게 손을 깨끗이 씻으라 하시오."

직접명령일 경우에는 "손을 깨끗이 씻어라."가 되는 건가?

 

그외 

-으라, -어라의 문법

-라8

「어미」

「1」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하라체를 사용할 자리에 쓰여,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청자나 독자에게 책 따위의 매체를 통해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으라

「어미」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간 뒤에 붙어))

「1」 (예스러운 표현으로) 하라체를 사용할 자리에 쓰여,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아니한 청자나 독자에게 책 따위의 매체를 통하여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위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가져온 내용입니다.

어미 '-라'와 '-으라'가 뜻이 같고 형태만 다른 이형태임에도 사전이 '-으라'만 예스러운 표현으로 풀이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