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산분장을 제도화 하였다. 2023년 1월 5일

카이노스123 2023. 1. 11.
반응형

산분장을 제도화 하였습니다. 2023년 1월 5일

 

산분장이란 화장 후 유해를 산, 강, 바다에 뿌리는 것을 말합니다. 정부는 2023년부터 국민의 산분장 수요를 고려하여 산분장을 제도화하였습니다. 

 

3차 장사시설 수급 종합계획(23~27)」수립

- 장례 복지 및 장사분야 재난 대응에서 국가와 지자체 역할 강화 -

 

<중점 추진 과제>

 자연·사회적 재해감염병 등 국가재난대비 장례대응체계 강화

 무연고자 등 취약계층 공영장례 지원 확대 장례 복지 강화

 공간점유가 없는 지속가능한 장사방식인 산분장* 제도화·활성화 친자연적 장례문화 확산
   * 화장한 유골을 산·바다 또는 특정 장소 등에 뿌리는 장사방식

 정보통신기술(메타버스, 가상현실서비스 등) 활용 온라인 추모·성묘 문화 확산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 1 6() 「제3차 장사시설 수급 종합계획(23~27)(이하 종합계획) 마련·시행한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그동안 장사정책협의체 운영(21.7~12), 정책 홍보 컨설팅 연구(22.8월), 장사정책 아이디어 공모전(22.8~10월), 장례문화 대국민 인식도 조사(22.11월) 등을 바탕으로  전문가 간담회(22.12월) 지자체 설명회(22.5월 및 12월), 대국민 공청회(22.12.27) 등을 통해 각계 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이번 종합계획을 마련하였다.

 

그 가운데 한 형태로 산분장을 제도화 하였다.

 

 장사제도 개선을 효과적으로 추진을 위해 

   장사법에 장례 복지* 개념 도입하는 등 필요시 전면 개정을 추진한다. 

   * 장례를 치러 줄 사람이 없는 사망자에게 최소한의 존엄한 공영장례를 지원하고 국민 누구나 ‘좋은 죽음’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국가와 지자체의 책임 부여

 

  ○ 또한, 국민의 산분장 수요*를 고려하여 산분장을 제도화하고 산분 구역에 개인 표식은 설치하지 않되 존엄하게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별도의 헌화 공간·온라인 추모관을 마련하는 등 국민 정서에 맞는 품위 있는 장례방법으로 대국민 홍보 병행(~27)한다.

 

   * 통계청,「2021 사회조사」(‘21.11): [선호하는 장례방법] 봉안(34.6%), 자연장(33.0%), 화장 후 산·강·바다에 뿌림 (22.3%), 매장(9.4%)

 

관련기사

반응형

댓글

💲 추천 글